세계 최대의 특송 운송 회사 중 하나인 페덱스 익스프레스(FedEx)가 아시아 태평양(Asia Pacific, APAC) 지역 발 6곳의 목적지로 배송하는 운송 시간을 기존 2-4일에서 1-3일로 단축시킴으로써 브레이크 벌크(Break-Bulk) 화물 서비스인 FedEx International Priority DirectDistribution®(IPD)를 향상시켰다. 아태지역 내 호주, 홍콩, 뉴질랜드, 싱가포르, 한국과 대만[1]의 고..
델타항공은 2030년까지 항공기단 전체의 지속가능한 항공연료(Sustainable Aviation Fuel) 사용률 10%를 달성하기 위해, 바이오연료 제조기업 지보(Gevo)와 업무 협약을 체결하고 연료 기술 도입을 확대한다. 델타항공은 이번 협약을 통해 2026년 하반기부터 7년간 약 2억 8천 3백만 리터에 달하는 지속가능한 항공연료를 공급받을 예정이다. 오는 2030년까지 총 연료 사용량의 10%..
항공화물 시장 수요가 상승하고 있다. 최근 IATA는 2월 기준 글로벌 항공화물 수요는 여전히 제한적이지만, 2021년 2월 대비 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일단 코로나 19 발발 이전의 수준은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으며, cargo tonne-kilometers (CTKs)기준 국제선 화물 수요도 2.5%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IATA는 특히 중국 춘절의 영향력을 베제하기 위..
최근 글로벌 항공화물 운임 분석기관인 Accenture Seabury의 데이터를 보면, 유럽을 출발해 동북아, 특히 한국과 일본으로 들어오는 항공화물 운임이 급등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유럽발 항공화물 운임은 시장 가격 기준으로 지난 4월 1일 기준으로 시장 점유 물량 60% 이상, 운임은 50% 이상 상승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3월 18일 기준 유럽발 동..
오늘 우크라이나항공은 Linklin SNS를 통해서 우크라이나군이 키이우 인근 Kyiv-ANTONOV 공항을 러시아 점령군으로부터 해방시켰다고 공개했다. 러시아군으로부터 공격을 받아 파괴된 모습의 An-74T, An-26-100, An-225기체 사진과 함께 근처 사무동 및 격납고 폐허 사진을 공개한 안트노프항공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은 AN-124-100 항공기가 독일 라이프치히 할레 공항을 통..
FedEx Corp의 자회사인 FedEx Logistics의 글로벌 운영을 총괄하는 본사 사무실 오픈 행사가 지난 5일 테네시주 멤피스 다운타운에서 열렸다. 전 세계 34개국 및 지역에서 활동하게 되는 페덱스로지스틱은 창고 등 시설 확장과 항공 및 해운을 비롯해 창고와 유통, 통관 및 무역 솔루션을 제공하는 FedEx의 새로운 물류서비스 포트폴리오라고 할 수 있다. 페덱스 로지스틱의 CEO인 ..
상하이 봉쇄가 길어지면서 중국 정부의 전방위적인 제로 코로나 정책으로, 전자 부품 최대 공급처중 하나인, 쿤산이 봉쇄에 들어갔다. 무엇보다도 중국 장쑤성 쿤산시(Kunshan)가 코로나19 확산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 5일간 폐쇄를 단행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전 세계 자동차 및 전자제품 브랜드들은 비상이 결렸다. 중국 쿤산은 상하이 서북쪽 50KM에 위치한 쑤저우 시에 속한..
러-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북유럽 거점 항만에서의 내륙 수로 등 연계 수송망 운임이 급등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바지선 운영사들은 국제유가 급등에 따른 “emergency surcharge”를 부과하기로 결정하고, 컨테이너 당 25유로(27.4 달러)를 부과하고 있다. 이는 로테르담을 중심으로 하는 내륙 이동 서비스 대기 시간이 3일 이상 소요되고, 엔트워프에서 물..
유럽의 전 산업계가 이른바 지속가능한 환경 연료 사용을 늘리는 가운데, 최근 프랑스 화주그룹인, “French shipper group the Association des Utilisateurs de Transport de Fret (AUTF)”외 “France Supply Chain”은 화물운송 전용의 현대적인 범선 개발을 추진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미 Michelin, Moët Hennessy, Nestlé Waters, Remy Coin..
< 봉쇄 조치 현황> 현재 상하이 지역 코로나 확진은 4월 6일 현재 기준 신규 311명, 무증상 1만 6,766명으로 나타났다. 상하이 지역내 법인 사무실과 공항 등 창고 인력 전체는 재택근무를 유지중이다. 주요 사무실이 모여있는 상하이 푸시지역은 봉쇄 연장에 따라, 전체 주거지 및 상가 등에서 출입이 봉쇄되고 있다. 푸동지역 역시 동일하게 봉쇄가 연장중이며, 봉쇄 해제 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