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이 2022년 2분기 고유가, 고환율 지속에도 불구하고 여객 수요의 점진적 회복 및 화물사업의 선전에 따라 매출 3조3324억원, 영업이익 735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시현했다. 이중 2분기 화물 매출은 2조 1,712억원을 기록.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및 중국 주요 지역 봉쇄 조치로 글로벌 물류 공급망 혼란이 지속되고 있으나, 자동차/반도체/전자 설비, 부품 등의..
국내 최초 하이브리드 항공사 에어프레미아(Air Premia)가 항공기 리스 기업 에어고 캐피털(Aergo Capital)과 4일, 보잉 B787-9 기체 2대에 대한 리스 계약을 체결했다. 에어프레미아는 이번 계약 체결을 통해 자사 4·5호기 도입 준비를 완료하고, 기존에 계약된 보잉사의 신규 제작 기재 3대와 더불어 총 5대의 기단을 확보하게 됐다. 4호기는 올해 8월 말, 5호기는 내년 초..
대체기 투입 시카고행 화물은 무사 이동 일부 업체, 시카고 화물 공급 위축 우려 인천을 출발해 시카고를 향하던 대한항공 B747화물기가 경유지인 앵커리지 공항에서 지상 충돌 사고가 발생했다. 알래스카 현지 뉴스 채널인 ALASK's NEWS SOURCE에 따르면, 대한항공 화물기가 현지시간 월요일 아침 테드 스티븐스 앵커리지 국제공항 공항에서 지상이동을 위해 작업자의 유도중 토..
최근 머스크는 7월 아시아태평양 보고서를 통해 아-태 무역로에서 성수기에 “긍정적인 신호”가 있다고 발표했다. 물론 중장기적으로 해운 시장은 그다지 밝지만은 않을 것이라는 예상도 함께 했다. 동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7월 중국의 공장에서의 생산활동은 감소했고 이는 시장 수요를 약화시킨 요인이라고 밝혔다. 더욱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더욱 광범위..
미 연방해사위원회(FMC)가 개정된 새로운 해운개혁법(Ocean Shipping Reform Act.) 시행을 지원하기 위한 해운시장 규정 위반을 조사하는 규정준수조사국(Bureau of Enforcement, Investigations and Compliance;BEIC)를 설립헸다. 미 의회의 의결과 바이든 대통령의 서명으로 발효된 OSRA 22는 법안에 포함된 실질적인 조사기관 출범을 명문화한 바 있으며, 이번 조사국의 설립으로 ..
굴로벌 항공화물 시장 수요가 6.9% 감소한 와중에도, 터키항공카고는 지난 6월 국제선 항공화물 시장 점유율 4.8%로 세계 4위 화물항공사로 올라섰다. 이는 세계 항공화물정보제공기관인 WACD가 발표한 6월 시장 분석 자료에서 터키항공카고가 높은 국제선 시장 점유율을 기록한 것으로, 전 세계 이동중인 항공화물 5개중 1개를 터키항공카고가 실어나른 셈이다 이번 성과에 대해 ..
글로벌 물류시장의 수요 감소에 따라 취급량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DB Schenker는 상반기 매출 및 영업이익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실적을 기록했다. DB그룹에서 가장 실적이 좋은 사업부인 DB Schenker는 이번 2022년 상반기 총매출이 전년동기비 35.8%가 증가한 142억 유로를 기록했으며, 이자 및 세전이익(ebit)은 12억 유로로 91.3% 증가세를 보였다. 하지만 기간 중 취급..
독일 루프트한자 항공의 지상 작업인원들의 파업과 관련, 전체 노조인 Verdi는 사측과 사전에 계획한 협상이 공식 시작될 때까지는 더 이상 파업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지상직 노동자들의 파업으로 주중 루프트한자는 최소 1,000편 이상의 항공운항이 취소돼쏘, 하루(수~목)에 국한된 이른바 경고성 파업으로 인한 여파가 여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화물부문..
글로벌 항공화물 브랜드인 투르키예 국적 터키항공카고는 중국의 특송물류기업인 YTO익스프레스의 계열 화물항공사인 YTO Cargo Airlines와 전략적 협력관계 강화를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중국과 중앙아시아 및 투르키예를 연결하는 항공화물 노선을 강화하고 동시에 공급을 확대하는 등 상호 협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협정을 바탕으로 YTO 화물항공은 시안과 타쉬..
Kuehne + Nagel(K+N)의 2분기 실적 발표 분석에서 항공화물 주력 업체인 Apex의 인수로 인한 효과를 지적한 시장 전문가들은 DSV 역시 2분기 항공화물 실적이 예상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한 것을 두고 Panalpina의 인수 효과로 보고 있다. 최근 DSV는 2분기 실적을 기반으로 상반기 항공화물 비즈니스 실적을 발표했는데, 매출이 490억 크로네(67억 달러)로 전년동기비 약 80% 증가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