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공화물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머스크(Maersk)가 최근 북미 시장 확장 계획의 일환으로 로스엔젤리스공항(LAX) 근처에 새로운 항공화물 게이트웨이를 개장했다. 머스크에 따르면, 이번 신규 개장 항공화물 수출입 터미널은 13만 평방피트 규모로 공항에서 15마일 떨어진 최적의 위치에 건립되었고, 롱비치 항구에서도 불과 9마일 이내 거리에 있어 더 많은 공급망 통합 관리 기..
지난 2001년 3월 개항한 인천공항이 개항 이후 22년 7개월 만에 누적여객 8억 명을 달성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사장 이학재)는 지난 4일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출국장 10번 탑승구 인근에 마련된 행사장에서 ‘인천공항 누적여객 8억 명 달성 기념행사’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인천국제공항공사 이학재 사장, 아시아나항공 현일조 본부장 등 관계자들이 참석해 ..
일상 생활 속에서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다짐을 릴레이 방식으로 확산하는 환경부의‘일회용품 제로 챌린지(일회용품 없애기 도전)’에 은산해운항공 양재생 회장도 동참했다. 이번 챌린지는 참여자가 일회용 컵 사용을 줄이고 다회용컵 사용을 늘려갈 것을 약속하는 내용을 SNS에 올리면서 후속 참여자를 지목하는 방식으로 이어간다. 한편 양재생 회장은 (주)금양 류..
아제르바이잔 바쿠를 허브로 하는 항공화물 전용항공사인 실크웨이웨스트 항공(Silk Way West Airline)가 가장 최신의 화물기종인 B777F를 보잉으로부터 처음으로 도입했다. 그동안 B747 화물기종을 주력으로 사용해온 실크웨이웨스트는 지난 2021년 3월 보잉사와 5대의 화물전용기 구매 계약을 체결한 바 있으며, 이번에 B777 화물기중 1호기를 인수한 것이다. 실크웨이웨스트는 오..
최근 IATA는 세계 항공화물 시장 분석 보고서를 발표, 지난 8월 기준 항공화물 수요가 화물-톤-킬로미터(CTK) 기준으로 전년동기비 1.5%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면서 지난 2022년 2월 이후 처음으로 YoY 증가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다만 펜데믹 이전인 2019년 8월과 비교해서는 여전히 1.3% 줄어든 수치를 기록했다 IATA는 “항공화물 공급량은 ACTK(available cargo tonne-kilome..
글로벌 항공화물 운임지수를 발표하는 Baltic Exchange Airfreight Index(BAI)는 지난 9월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평균 운임이 개선의 조짐을 보인 가운데, 10월에 들어서서 첫 주 기준 추가적인 인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발표했다.(aircargo news) 관련업계에 따르면, TAC Index 기준 10월 첫주 기준 항공화물 운임중 구간별 지수에서 홍콩발 유럽 및 북미로 가는 화물 평균운임(현물 ..
글로벌 항공화물 시장 분석 업체인 WorldACD에 따르면, 8월 기준 전 세계 일반 항공화물 수요 부진에도 불구하고 이른바 ‘특수화물(SPECIAL CARGO)’의 수요는 전반적인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최근 월간 시장 분석 보고서에서 WorldACD는 침체된 항공화물 시장에 특수화물 수요가 항공사들에게는 가장 큰 호재로 작용하고 있으며, 8월까지 누적 실적에서 특..
홍콩국제공항(HKIA)은 최근 8월 화물 실적을 발표, 전월은 물론 전년동기비 항공화물량이 회복세를 이어가고 있다고 밝혔다. 공항당국에 따르면, 지난 8월 화물 통계 수치는 36만 7,000톤의 화물을 처리하여 전월대비 1.7% 증가했으며, 항공 운항편수는 4.3%가 증가한 2만 5,055회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년동기비 8월 화물처리량도 8.5% 증가세를 보였으며, 이중 수출항공화물..
추석 연휴 변수로 단순 비교는 한계 북미는 늘고 중국 동남아는 감소세 여전 인천공항을 출발한 9월 항공화물 실적이 연말 성수기를 반영하듯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2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9월 기준 항공화물 중량(실 톤수 기준)은 70만톤을 넘기면서, 지난해 9월 67만톤보다 4%가 넘는 증가세를 시현했으며, 펜데믹 기간을 배제한 2019년 9월 실적보다도 5.47%가 ..
HMM(대표이사 김경배)이 인도네시아 서비스 강화를 위해 자카르타와 수라바야를 직항으로 연결하는 서비스를 개설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편된 ICN(Intra-Asia Cross Network) 서비스는 한국과 인도네시아를 연결하는 가장 빠른 노선으로 부산에서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수라바야까지 약 7일이 소요된다. 지난 5월 HMM 단독으로 개설한 ICN 서비스 개편을 통해 10월 9일부터 시작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