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이 중국 정부의 코로나19 제한조치로 다시 한번 국경 트럭운송망이 제약을 받고 있다. 현지 업체들에 따르면, 선전시와 둥관의 코로나19 감염에 증가하면서, 트럭 이동이 제약을 받기 시작했으며, 이미 국경을 넘나드는 트럭운송이 3,500건에서 1,500건으로 줄어들고 있다고 전했다. 이같은 이동 제한은 지난 25일부터 시작되었으며, 이로 인해 트럭 수송공급규모가 평소의 10%..
㈜케이피에스는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중소기업유통센터의 ‘2022 해외쇼핑몰 입점 지원사업’에 참여해 2달만에 싱가포르에서 KF94와 KF80 마스크를 3천만원 이상 판매하는 실적을 올렸다고 밝혔다. 중소기업유통센터와 글로벌 쇼핑 플랫폼 Qoo10(큐텐)이 중소기업수출 지원을 위해 5월에 시작한 해외쇼핑몰에 입점한 지 불과 2달 만에 이룬 성과다. ㈜케이피에스는 중소..
루프트한자 노조인 베르디(Ver.di)는 지상근무직원들에게 현지시각 수요일 03시 45분부터 목요일 06시까지 한시적으로 경고성 파업을 벌이라고 요구하면서, 루프트한자 카고 지상근무자들도 파업에 동참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업계 및 루프트한자에 따르면, 운임 인상을 두고 사측과 의견을 좁히지 못한 노조측의 이번 경고 파업으로 루프트한자의 허브인 FRA와 MUC를 출발하는 항..
중국 선전시 코로나 이동 제한 상하이 대규모 핵산검사 재 시행 중국의 코로나 19에 대한 제한조치에 대한 불확실성이 늘면서, 다국적 대기업군에 이어 중소기업들도 동남아 등지로 생산지를 이동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는 소식이다. 최근 글로벌 시장 전문기관들은 중국 상하이 도시 봉쇄의 영향을 체감한 중소기업들이 중국 중앙정부의 코로나19에 대한 정책에 대해 우려를 ..
북미산 체리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수요는 생산 출하 지연 및 항공화물 공급 스페이스 부족에도 불구하고 상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근 관련업계에 따르면, 북미산 체리 생산이 이상기후로 예년보다 늦은 출하와 그에 따른 수량 부족으로 원가가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 수입 수요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해 보다 훨씬 낮은 수량만이 이동중..
지난 2분기 Kuehne+Nagel(K+N)의 실적이 발표됐다. 특히 기간중 K+N은 항공화물 사업 실적에서 전년동기비 순매출 37% 증가와 이자 세전이익(EBIT) 65% 증가세를 기록하는 등 시장 위축에도 불구하고 견고한 성적표를 제출했다. 무엇보다도 2분기 항공화물 시장은 우크라이나 전쟁 및 중국의 봉쇄 영향등으로 세계적으로 수요가 크게 위축, 실적 전망이 불투명했다. 그러나 2021년 ..
지난 주말까지 시위를 이어가던 미국 자가 트럭 운전자들의 오클랜드 항만 봉쇄 시위가 마무리되어, 그동안 사실상 가동이 중단됐던 오클랜드항만이 정상 운영이 되기 시작했다. 미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이른바 AB5로 불리우는 법안 통과에 대해 반대하는 시위를 벌여온 자가용 트럭 운전자들이 이번주 시위를 통한 항구 봉쇄를 해제했다. 이에 그동안 막혔던 과일과 견과류 및 와..
글로벌 선사인 머스크의 항공화물 시장 진입과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보잉사와 B767-300화물기 3대에 대한 추가 도입 주문을 냈던 머스크 항공화물 부문(division)은 미국 항공화물 시장에서의 전략적인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마이애미에 기반을 두고 있는 항공화물 전용항공사인 Amerijet과 함께 태평영황단 노선을 운항하기로 계약을 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업계..
중국 최초의 화물전용공항을 표방하며 출범한 어저우시에 위치한 어저우 화후공항(Ezhou Huahu Airport)이 최근 B767-300화물기 운항을 시작하면서 본격 가동에 들어갔다. 이른바 “professional cargo hub airport”를 기치로 내걸고 공항 운영을 본격화한 화후공항은 2만 3,000평방미터의 화물터미널을 보유하고 있으며, 거의 70만 평방미터 크기의 화물 환적 센터와 2개..
아시아나항공(대표 정성권)이 지난 23일(토) 인천~베이징, 인천~이스탄불, 인천~바르셀로나 3개 노선 운항을 재개했다. 지난 2020년 3월 정기편 운항을 중단한지 2년 4개월 만이다. 아시아나항공은 ▲인천~베이징 노선 주 1회(토) ▲인천~이스탄불 노선을 주 2회(수, 토) ▲인천~바르셀로나 노선을 주 2회(화, 토) 운영한다. 한·중 교류의 핵심 노선인 인천~베이징 노선은 지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