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봉쇄조치 여파로 공항으로의 항공화물 픽업이 크게 제한되면서, 상항이푸동국제공항(PVG)의 아웃바운드 화물 L/F가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Accenture의 Seabury가 발표한 데이터로, 지난 3월기준 상하이공항 화물공급량은 40% 이상 하락했으며, 특히 Clive Data Services가 집계하는 동적 L/F는 이 회사가 집계를 시작한 이후 가장 낮..
Cathay Pacific Cargo는 최근 일반 화물예약건과 달리 우선적으로 확정된 예약이 가능한 화물 서비스 상품 3가지를 시장에 출시했다. 이는 고객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을 제공해, 운송되는 화물에 대해 속도(시간) 및 스페이스 공급과 보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3단계의 상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비스 우선순위에 따라서, CX는 ‘First (PR1)’와 ‘Essential Plus ..
네델란드 스키폴 공항이 공항운영 재정 적자를 이유로 항공사들에게 부과하는 공항사용료를 일괄 인상 방침과 관련된 소송에서 네델란드 소비자 보호기구인 소비자시장국(Authority for Consumers and Markets;ACM)이 스키폴공항의 손을 들어줬다. 스키폴공항은 공항에 이착륙하는 여객기 및 화물기 모두 사용료를 인상하기로 결정했으며, 오는 2023년 9%, 2024년에는 12%, 그리고 20..
캐세이퍼시픽항공이 아시아 항공사 최초로 ‘기업 고객 대상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 이용 프로그램(Corporate Sustainable Aviation Fuel Programme)’을 시범 실시한다고 22일 밝혔다. 지속가능한 항공 연료(이하 SAF)는 기존 제트 연료와 비교해 항공기 운항 전 과정 기준 탄소 배출량을 최대 100%까지 줄일 수 있어 탄소 배출량 감축에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이다. 기업..
KLM은 탄소중립과 환경 보호 동참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책임감 있는 비행(Fly Responsibly)’ 비전을 선포하고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이번에 KLM은‘탄소 보상 항공편’을 운항한다. KLM은 보다 많은 승객들이 지속가능성을 위한 활동에 동참할 수 있도록 22일 오전 1시 10분에 출발한 인천-암스테르담 항공..
한국국제물류협회(KIFFA)는 산업통상자원부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진행하고 있는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을 진행하며 총괄수행기관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업소개 및 신청방법에 대하여 웨비나를 진행, 많은 참가를 요청했다. 지난해부터 성공적인 회원사 지원사업을 평가받고 있는 수출지원기반활용 바우처 사업은 사업 신청 및 사업 진행과정에서의 서류 절차 등 ..
미 서부항만의 혼잡 및 공급망 문제가 확산되면서, 그동안 시장에서 줄기차게 요구했던 내룩항만 기능을 확장하는 개발 프로젝트가 본격 시작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물류 공급망 시장에서는 LA 및 롱비치항만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내륙지역에 항만 기능을 할 수 있는 Inland Ports (IP)를 개발하자는 요구가 있어왔다. 이에 따라, 아직 구체적인 부지 선정 등의 작..
Air Canada Cargo가 자신들의 2번째 화물전용기를 인도받고, 캐나다와 유럽을 연결하는 화물운송 네트워크 확장에 나서고 있다. 에어캐나다는 B767-300ER 2호기를 할리펙스 스탠필드(Halifax Stanfield)국제공항은 물론 토론토 공항을 통해 유럽과 연결하는 화물노선에 투입시킬 예정인데, 늦어도 5월중 해당 노선 운항을 시작해 Toronto를 출발해 Frankfurt 주 2회, Cologne 주1회, ..
상하이 봉쇄여파로 정상적인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푸동공항에서 대체 공항을 찾아 우회한 항공화물 수요가 이들 공항의 혼잡을 부추키고 있다는 소식이다. 특히 우회 운송을 위해 선택된 정저우 공항(CGO)은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문제는 정저우 지역이 차량 이동 제한 등 2주간의 자체 봉쇄를 시작했다는 점이다. 물론 이번 조치는 상하이 ..
중국 중앙정부는 상하이의 엄격한 도시 봉쇄 조치의 악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새로운 생산 및 물류 정상화 지침을 발표했다. 이는 중국정부가 승인한 규정과 지침에 부합하는 경우 일부 지역은 생산 공장 가동을 재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골자로, 이는 특정 회사를 정부가 자체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된다. 이에 따라 주요 매체들은 중국 상하이 테슬라 및 TSMC 공장이 오늘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