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류업체 자동화 설비 및 데이터 중계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 "스마트포트테크놀로지(대표:박현지,http://www.smartport.kr)"가 3년 연속으로 고용노동부가 발표하는 2022년 "청년친화강소기업"으로 선정되었다. 청년친화강소기업은 고용노동부가 우수한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2012년부터 선정해 발표해 오고 있다. 동종 업..
아시아나항공(대표 정성권)이 본격적인 유럽 노선 정상화에 나선다. 아시아나항공은 현재 2개 노선을 주 6회 운항 중인 유럽 노선을 매월 순차적으로 확대해 7월에는 6개 노선 주 17회까지 운항을 늘릴 계획이다. 이에 따라 아시아항공은 우선 5월 ▲ 인천-프랑크푸르트 노선을 5월 28일(토)부터 주 1회(주4회 → 주 5회) 증편하고, ▲ 인천-런던 노선 역시 5월 30일(월)부터 주 1..
팬아시아 이커머스 물류 전문 기업 큐익스프레스(Qxpress)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으로 고용노동부가 발표하는 ‘2022년 강소기업’으로 선정됐다. 강소기업은 고용노동부가 우수한 중소기업의 정보를 제공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인식 개선을 위해 2012년부터 선정해 발표해 오고 있다. 동종 업종이나 규모 대비 고용유지율과 B- 이상으로 신용평가 등급이 높고, 최근 3년..
국적항공사인 대한항공이 지난 1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대한항공은 1분기 화물노선 매출은 2조 1486억원에, 여객노선 매출은 3,598억원을 기록해 총 매출 2조 8,052억으로 전년동기비 60% 증가세를 시현했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 역시 7,884억으로 전년동기비 무려 533%가 늘어나는 기염을 토했다. 당기순손익은 5,439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 (-)288억원에서 흑자로 전환된 것..
국내 최초 중장거리 전문 하이브리드 항공사(HSC) 에어프레미아가 지난 29일 1차 유상증자에서 100% 청약에 성공하며, 안정적인 재무기반 확보를 이어가게 되었다고 밝혔다. 에어프레미아는 지난 3월 이사회를 통해 주주배정 방식으로 580억 원 규모의 유상 증자를 결의하고 1, 2차에 걸쳐 청약을 진행하기로 했다. 이번에 진행된 1차 배분 290억 원은 JC파트너스 및 박봉철 회장 컨..
㈜한진이 글로벌 이커머스의 성장에 맞춰 국제특송 및 포워딩 사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 강화에 본격적인 시동을 건다. 노삼석 대표이사 사장은 금번 4월 초부터 15일에 걸쳐 ㈜한진의 미주 7개 거점(로스앤젤레스, 포틀랜드, 시애틀, 시카고, 달라스, 뉴욕, 뉴저지)에 대한 현장점검을 실시했다. 이번 출장은 포워딩, 국제특송 등 국제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한진의 ..
관세·물류 분야의 IT전문기업인 ㈜케이씨넷(대표: 양승권)은 수출입기업이 품목분류(HS)를 손쉽게 결정 할 수 있는 “AI기반 HS-Code 추천 솔루션(일명: AI-HS 솔루션)”을 WCO를 통해 최초로 출시했다고 지난 5월 2일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AI-HS 솔루션’은 전 세계 수출입기업들이 겪고 있는 품목분류(HS)의 어려움을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전..
4월 상하이의 항공화물 공급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무려 3분의 1 수준으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Accenture사의 Seabury Consulting은 상하이 푸동공항의 4월 공급량 집계 결과 4월 첫 2주간의 화물공급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 4만 1,900톤 보다 62.3%나 빠진 1만 5,800톤으로 나타났다. 특히 항공사 화물공급 감소의 주요인인 상하이 도시 봉쇄에 따른 영향을 확인해 ..
국내 최초 하이브리드 항공사인 에어프레미아는 향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항공 전문가 인력 확보를 위해 신라대학교(총장 김충석)와 항공 전문가 양성을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로 하였다. 에어프레미아와 신라대는 4월 28일 오후 4시 서울 에어프레미아 본사에서 신라대 항공대학 김재원 학장, 에어프레미아 유명섭 대표 등을 비롯한 양측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학술..
HMM(대표이사 김경배)이 지속가능경영 추진 성과와 계획을 담은 ‘2021 ESG 보고서’를 발간했다. ESG 보고서는 비재무 요소인 환경(E)·사회(S)·거버넌스(G)를 균형 있게 고려해 이해관계자 중심의 경영활동과 ESG 핵심이슈에 대한 HMM의 활동과 성과를 수록했다. HMM은 2019년 지속가능경영 체계를 수립한 이후, 2020년에는 ESG 중심의 체제로 개선했으며..